티스토리 뷰
목차
실업급여 신청 방법 총정리
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업급여 신청 절차를 1차부터 8차까지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고용보험 사이트 사용 방법부터 워크넷 구직 신청, 구직 활동 증빙까지 누구나 쉽게 따라 하실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정리했으니,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!
1.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및 자격 상실 확인
1. 포털에서 ‘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’ 검색 → 홈페이지 접속
2. 개인 로그인
3. 화면 내 ‘사업장 피보험 자격 신고 현황’ 클릭
4. ‘근로자 자격 상실 신고’ 클릭 후 조회
5. 고용·산재 모두 ‘승인 처리’ 상태 확인
2. 이직 확인서 확인
1. 포털에서 ‘고용보험’ 검색 → 홈페이지 접속
2. 개인 로그인
3. 왼쪽 상단 ‘개인 서비스’ 클릭
4. ‘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’ 선택
5. 만약 ‘검색 결과 없음’이라면 회사에 즉시 연락
3. 워크넷 가입 및 구직 신청
1. 포털에서 워크넷 검색 후 홈페이지 접속
2. 회원가입 및 로그인
3. PC: 이력서 작성 → 구직 신청
4. 모바일: 마이페이지 → 구직 신청
5. 구직번호 확인
4. 수급 자격 온라인 교육 및 신청서 작성
1.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→ 수급 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클릭
2. 동영상 강의 끝까지 시청 (음소거 및 배속 금지)
3. 이수 확인 후 신청서 작성
4. 취업희망카드 발급 희망 체크
5. 신청서 제출 후 2주 이내 고용센터 방문
5. 2차~4차 실업 인정: 온라인 특강 시청
1.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→ 온라인 취업특강 클릭
2.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수강하기 클릭
3. 1개의 특강 선택 후 정상 수강 (정석대로 시청)
4. 수강 완료 후 실업 인정 신청
※ 실업 인정일에만 신청서 제출 가능
6. 5차 실업 인정: 구직활동 + 직업심리검사
1. 워크넷 → 직업심리검사 → 성인 심리검사 → 직업선호도 S형 추천
2. 검사 결과 저장 또는 캡처
3. 다른 날 구직활동 1건 진행 (잡코리아 추천)
4. 채용공고 캡처 → 입사지원 → 취업 활동 증명서 발급
5. 실업 인정 신청 시 자료 첨부
7. 6차~7차: 구직 활동 2회
1. 각각 다른 날짜에 구직 활동 2건
2. 실업 인정 신청서 작성 시 날짜, 회사, 내용 정확히 입력
3. 각 활동 증빙 자료 첨부
4. 면접 본 경우 면접확인증과 명함도 첨부
8. 실업 인정 신청서 작성 팁
1. 고용보험 →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
2. 근로, 재직, 휴업 등 해당 사항은 '아니오'
3. 구직활동 및 특강, 심리검사 등은 '있음'
4. 임시 저장 필수 / 제출은 실업 인정일 당일에만 가능
5. 신청 후 1~2일 내 실업급여 입금
추가 팁
- 구직 활동은 같은 날 2개 인정 불가 → 날짜 분리 필수
- 잡코리아, 워크넷 외 타 사이트 사용 시 활동 수기 입력 필요
- 직업 심리 검사, 특강, 구직 활동 날짜 분산 권장
- 제출 서류: 직업심리검사 결과지, 취업활동 증명서, 채용공고문, (면접 시) 면접확인증 및 명함
이제 실업급여 신청은 더 이상 어렵지 않겠죠? 단계별로 따라 하시면 누구나 실업인정과 급여 수령까지 무리 없이 하실 수 있습니다. 모두 힘내세요!